WorkCalc

근로자 급여 계산기 허브

시급부터 퇴직금까지, 모든 근로자를 위한 필수 급여 계산 도구

시급 → 월급 계산기

계산 구조

월급 = 시급 × 근무시간 × 근무일수
+ 주휴수당 (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)
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
계산 결과

기본 월급

1,765,280원

주휴수당

349,050원

총 월급 (세전)

2,114,330원

월급 구성 비율

실수령액 계산기

공제 항목

국민연금
4.5%
건강보험
3.545%
장기요양
0.4682%
고용보험
0.9%
* 소득세/지방소득세는 연봉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

실수령액 결과

월 실수령액

2,234,560원

월 공제액

265,440원

연 실수령액

26,814,720원

공제 항목별 비율

퇴직금 계산기

퇴직금 계산 공식

퇴직금 = 평균임금 × 30일 × (재직일수 ÷ 365일)
평균임금 = 퇴직 전 3개월 급여 총액 ÷ 3개월 총 일수
* 1년 이상 재직 시에만 퇴직금 지급
기본급 + 각종 수당 포함 (세전 금액)

퇴직금 결과

총 근무기간

3년 0개월

평균임금 (일급)

83,333원

퇴직금 (세전)

7,499,925원

퇴직소득세 (예상)

0원

근속연수별 퇴직금 추이

4대보험 계산기

2025년 4대보험료율

국민연금
4.5% (개인 4.5%, 회사 4.5%)
건강보험
3.545% (개인 3.545%, 회사 3.545%)
장기요양
0.4682% (건보료의 13.21%)
고용보험
0.9% (개인 0.9%, 회사 1.05%)
40세 이상은 장기요양보험료 추가 납부

4대보험료 결과

국민연금

135,000원
월 상한액: 248,850원

건강보험

106,350원
월 상한액: 4,130,160원

장기요양

14,050원
40세 이상만 해당

고용보험

27,000원
월 상한액: 477,000원

총 4대보험료

282,400원

4대보험료 구성 비율

근로자 급여 계산 가이드

시급 계산 기준

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
주휴수당: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

계산식: 시급 × 근무시간 × 근무일수 + 주휴수당

주휴수당 = 1일 소정근로시간 × 시급

실수령액 공제항목

4대보험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

소득세: 근로소득세 + 지방소득세

비과세: 식대(월 20만원), 교통비(월 20만원)

부양가족 수에 따라 세액 공제 적용

퇴직금 지급기준

지급조건: 1년 이상 계속 근무

계산기준: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

지급액: 평균임금 × 30일 × (재직일수/365일)

퇴직연금 가입 시 퇴직금 대신 지급

4대보험 가입기준

국민연금: 18~60세, 월 소득 28만원 이상

건강보험: 모든 사업장 의무 가입

고용보험: 모든 근로자 가입 대상

산재보험: 모든 근로자 가입 대상

고용보험료는 회사와 근로자가 공동 부담

관련 전문 계산기 허브

이 시뮬레이터를 공유해보세요!